상담 혹은 심리학/넋두리

나는 왜 심리학을 하고 있을까? 대학원 준비 중~

화통 2009. 9. 1. 12:15
학교의 마지막 학기가 개강했다.
또... 일하러 나오라고 연락이 왔다.
(내가 하고 있는 일은 방학 때 선택적으로 쉴 수 있다. 계약직이기 때문에...)
그리고... 대학원 진학을 위한 준비 작업을 하고 있다.
그동안 만만한 일상 속에서 게으름을 피우며 편히 지내던 시간은 모두 지나 갔다.
이제 다시 치열한 삶의 현장 속으로 고고씽~

심리학과 관련된 블로깅을 위해 이 블로그를 개설 했건만...
그동안 심리학 관련 블로깅은 못하고 있었다.
그 이유야 열가지도 넘게 댈수도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준비가 부족하다고 느꼈기 때문이었다.

나라는 그릇에 담긴 심리학이란 학문이 계속 차다보면 언젠가 넘칠 날이 올 것이고...
그날에 비로소 심리학을 이야기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도 있었다.
그러나... 모든 학문이 그렇듯 차고 넘칠 수 있는 학문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어쩌면 오늘과 같이 운명적인 날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방금 전 내가 목표로 하고 있는 대학원의 교수님과 통화를 해서 내일 만나기로 약속을 잡았다.
교수님을 소개해주신 분은 언젠가 한번쯤은 소개하게될 모모 목사님으로
내 인생에 있어서 부분적인 역할모델이 되어주신 분이다.
(종교적인 모델이 아니라 삶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목사하면 떠올릴 수 있는 그런 스타일 아님)
오늘 이야기의 주제가 해당 목사님에 대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설하고...

암튼... 마음에는 담고 있었지만 실천을 못하고 있던 대학원이라는 문제가
이렇게 갑자기 수면위로 떠오르게 되었다.

내일 교수님을 만나게 되면 어떤 말을 하게 될까?
아마도 왜 심리학과를 편입했는지... 그리고 왜 대학원을 진학하려고 하는지...
아니... 궁극적으로 왜 심리학을 공부하려고 하는지 묻지 않을까?

나는 왜 심리학을 하게 되었을까?
사실 처음부터 심리학을 하려고 하진 않았다.
처음엔... 장애를 가지고 있는 딸을 돌보면서 특수교육이나 치료 파트(언어, 심리, 놀이, 작업 등등) 쪽으로 편입을 해서 내 아이를 포함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싶었다.
하지만 막상 해당 학과에 편입하려고 보니...
딸 아이를 온 종일 돌봐야 하기 때문에 당장의 편입이 어렵기도 했고
또... 지역에 있는 특수교육과나 치료 학과들의 편입 커트라인이 정말 장난이 아니었다.
영어시험은 그렇다 치더라도... 전적대학 성적을 보는데...
결정적으로... 부끄럽지만... 대학 성적이 좋지 않았다.
대학을 선택할 때 의지나 적성과는 별개로 점수에 맞춘 과를 진학했기 때문에...
많이 놀아서 성적관리가 전혀되지 않았었다. (원래 대학 전공이 기계공학이었다... 공돌이... ㅋㅋㅋ)

두번의 편입 실패 후에...
차선으로 선택한 것이 바로 심리학이었다.
평소 약간의 관심도 있었고... 온라인 대학이다 보니 아픈 딸아이를 돌보면서
또 파트타임 계약직으로 일 하면서 공부를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이번에는 학점 관리를 잘 해서... 졸업 후엔... 다시 원하는 과로 편입하려고 했다.
아니면 놀이치료 공부를 해서 놀이치료사가 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았다.
(사실 심리학부 소개란에 놀이치료사가 될 수 있다고 적혀있어서... 혹했었다... ㅋㅋ)

만만히 생각하고 3학년 편입을 했지만... 쉽지는 않았다.
아이를 돌보면서(그것도 아빠가...), 비록 파트 타임이지만 일까지 하면서 공부하다보니
매일 새볔까지 공부를 해야했다. 솔직히 고3때도 그렇게 열심히 하지 않았던 것 같다.
처음에는 다음번 편입을 위한 학점 관리 차원이었지만 차차 심리학이라는 학문에 매료되어서
열심히 공부를 하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성적이 나쁘지 않게 나왔다. 온라인 대학이라 어느 정도 학점 인플레도 있었겠지만...)
지난 1년동안은 계속 학부 수석이라는 영광도 주어져... 공짜로 학교를 다닐정도로 열심히 했다.
곁다리로 사회복지학을 복수전공도 했고...
그러다 보니... 3년하고도 반년...이번 마지막 학기까지 총 7학기를 보내게 되었고
그렇게 심리학이라는 학문에 중독이 되어 버렸다.

하지만... 공부를 하면 할수록 심리학은 이론과 실재가 함께 가야하는 학문이란것을 알게 되었다.
온라인 강의만으론 깊이있게 공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공부 그리고 슈퍼비젼(일종의 멘토라고 할까...)이 절실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심리학으로 업을 삼고 싶어졌다.

낼 모래면 불혹의 나이를 바라보고 있는 입장에서...
새삼스럽게 심리학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꿈을 꾸는 것이 어리석을지 모르지만...
이렇게 공부한다고 해서 제대로 된 업을 삼을 수 있을지... 미래도 불투명하지만...
인생을 걸고 싶어졌다.
그래서 대학원까지 도전하기로 마음먹게 되었다.

아마... 이 블로그에 적은 내용이... 내일 교수님과의 대화에서도 반복될 것 같다...
재미없는 글이 너무 길어졌다. 쓰고 싶은 말은 더 있지만..
오늘은 여기 까지...
이제 차분히 내일의 만남을 좀 준비해야겠다. 출근 준비도 좀 하고...